관리 메뉴

밤 늦게까지 여는 카페

[도커 사용 시 주의사항 #2] 도커 dangling image 관리 본문

유용한 툴/docker

[도커 사용 시 주의사항 #2] 도커 dangling image 관리

Jㅐ둥이 2025. 3. 30. 01:03

저번에 도커 로그 드라이버 관련 글을 작성하고 조금 더 찾아보니 도커 이미지 데이터로 인한 용량도 주의해야 하는 것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도커 이미지 데이터로 인해서 용량이 얼마나 늘어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TL-DR

  • 주기적으로 docker image prune 명령어 실행해주기
  • 도커 컨테이너에서 용량이 큰 파일이(로그, 데이터) 생성된다면 volume으로 관리하기

1. dangling image가 뭐에요?

혹시 Dockerfile을 이용해서 도커 이미지를 빌드할 때 태그를 따로 지정하지 않거나 동일한 태그로 생성하시나요?

그렇다면 컴퓨터에 dangling image가 쌓여 있을 것입니다 😵😵😵

 

도커 이미지를 빌드할 때 동일한 태그로만 생성한다면 기존에 해당 태그값을 사용하던 이미지의 태그는 none으로 바뀌게 되서 dangling image가 되어버립니다 ㅜ

  •  태그를 지정하지 않았다면 latest로 태그가 설정되었을 것이고 이로 인해 dangling image가 생성되었을 것입니다

무수히 생겨버린 dangling image들

 

2. dangling image 제거 방법

사용될 일이 거의 없고 용량만 차지하는 dangling image들을 정리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docker image prune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입니다.

 

명령어를 실행하면 dangling image들을 삭제할 것인지 물어보는 prompt가 출력됩니다.

dangling image를 삭제할지 물어보는 prompt

 

y를 입력하면 dangling 이미지들이 삭제됩니다!

깔끔해진 image들

 

dangling image가 생성되지 않도록 태그를 잘 지정하는 것도 좋지만

주기적으로 docker image prune 명령어를 실행해서 불필요한 용량 사용을 최적화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